전라남도의회 이재태 도의원, “광주ㆍ전남 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비율 달성에도 청년 체감 효과 미흡”
검색 입력폼
전라남도

전라남도의회 이재태 도의원, “광주ㆍ전남 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비율 달성에도 청년 체감 효과 미흡”

채용 비율 상승했는데 실제 고용은 감소

전라남도의회 이재태 도의원
[뉴스채널]전라남도의회 이재태 의원(더불어민주당ㆍ나주3)은 지난 10월 29일 경상북도의회 주최로 한국도로공사 대강당에서 열린 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에 참석해 ‘광주ㆍ전남 공동혁신도시 지역인재 채용 현황과 개선 과제’를 주제로 의견을 제시했다.

지역인재 채용 제도는 공공기관 등이 이전 지역 내 지방대학 또는 고등학교를 졸업했거나 졸업 예정인 인력을 기관별 채용 규모와 지역 학생 수 등을 고려해 법정 비율에 따라 채용하도록 한 제도다.

이재태 의원은 “광주ㆍ전남 공동혁신도시의 경우 제도 시행 이후 10년간 지역인재 누적 채용 인원이 3,197명에 달한다”며 “2022년 이후에는 법정 의무비율 30%를 꾸준히 달성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채용 비율이 상승했음에도 실제 채용 인원은 오히려 감소한 사례가 있다”면서 “2022년에는 지역인재 228명(35.1%)이 채용됐지만, 2023년에는 채용 비율이 39.5%로 제도 도입 이후 가장 높았음에도 채용 규모는 141명으로 줄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국에서 가장 많은 공공기관이 밀집한 혁신도시임에도 지역 청년층이 체감할 수 있는 고용 확대 효과는 충분하지 않다”며 “지역인재 채용 제도가 법정 의무 비율 달성이라는 양적 성과를 보여주지만 비율 중심 관리로는 실제 청년 고용 기회를 충분히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합동채용설명회가 매년 열리고 있으나 취업으로 이어지는 비율에 대한 분석과 사후 관리가 미흡하다”면서 “참여자별 취업 추적, 기관별 성과 점검 등 체계적인 사후 관리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 의원은 광주ㆍ전남 공동혁신도시 지역인재채용협의체의 역할 재정립 필요성을 강조하며 “협의체가 행사 중심의 운영에 머무르지 않고 공공기관ㆍ지자체ㆍ대학 등이 함께 채용 현황을 점검하고 맞춤형 인재 양성 방안을 논의하는 실질적 협의 구조로 발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역인재 채용 제도가 청년의 삶과 지역 사회의 성장으로 이어질 때 혁신도시는 비로소 지속 가능한 발전의 기반이 마련된다”며 “청년이 지역에서 일하고 정착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기 위해 전남도의회 차원에서도 적극 힘쓰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조용진 경북도의원을 비롯해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관계자, 지자체 및 학계 전문가 등이 참석해 지역인재 채용 제도에 따른 현황을 점검하고 지역대학의 역할과 제도 개선 방향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박인석 기자 newscheaner@kakao.com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