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RE100 산단, 전주기 산업 클러스터로 도약해야” 백년포럼에서 글로벌 공급망 규제 대응 해법 제시, “글로벌 탄소규제 강화로 RE100 산단 고도화·내실화 필요” 박인석 기자 newscheaner@kakao.com |
2025년 10월 23일(목) 10:13 |
![]() “전북 RE100 산단, 전주기 산업 클러스터로 도약해야” |
전북이 추진하고 있는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와 ‘부안·고창 재생에너지 산단’을 ‘공급망 전주기 대응’이 가능하도록 고도화해 기업을 유치해야 한다는 것이다.
전북연구원은 지난 23일 오전 8시, 전북특별자치도청 대회의실에서 '전북 백년포럼' 제41강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글로벌 공급망과 RE100: 전북의 산업단지 고도화 전략 방향’을 주제로, 홍콩과기대(광저우) 류하늬 연구원이 강연을 진행했다.
류하늬 연구원은 “RE100은 자발적인 재생에너지 전환 캠페인이지만, 이미 글로벌 규제 수준은 이를 넘어 공급망 전체와 제품의 전주기(Life Cycle)로 확대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ESG 공시 의무화와 EU·미국의 탄소무역규제 등으로 인해 공급망 전체의 탄소 배출과 공정 투명성 관리가 수출 경쟁력의 핵심이 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EU 배터리법은 생산부터 재활용까지 전 과정의 탄소발자국을 추적하는 전형적인 전주기 규제 사례로, 우리 기업들도 제품의 LCA(전과정평가)를 준비하지 않으면 수출 장벽에 직면할 수 있다”고 지적하며, “글로벌 공급망의 블록화, ESG 공시 표준화, 공급망 실사 의무화가 동시에 작동하고 있어 지방정부 차원의 산업단지 전략도 이에 부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류 연구원은 “전북의 RE100 산업단지 모델은 기존 산단 고도화를 통한 특화 산업 완결형 클러스터를 지향해야 한다”며, “이차전지 특화단지는 원료(정·제련)–소재·부품–셀·팩 제조–재활용을 아우르는 완결형 밸류체인으로, 재생에너지 산업단지는 태양광·풍력·연료전지 부품 산업과 발전·운영·서비스가 결합된 전주기 생태계로 발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한 “RE100 산업단지의 성공을 위해서는 ‘RE 패스트트랙 (입지–계통–수요 연계)’을 통해 전력망과 투자를 연동하고, ‘송전망 건설 회피비용’을 기준으로 투자 확정 시점별 보전율을 차등 적용해 조기 투자를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산단 단위의 전주기 공급망 공동 대응 인프라를 구축해 규제 대응 비용을 줄이고, ESG 성과에 따라 세제·이전·정주 인센티브를 추가 부여하는 ‘성과연계형 인센티브 프레임’을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북연구원 관계자는 “류 연구원이 제시한 RE100 산업단지 전략은 글로벌 공급망 규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향”이라며, “전북이 RE100 기반 산업단지를 고도화하고 전주기 공급망을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연구원 차원에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전북 백년포럼’은 전북특별자치도가 주최하고 전북연구원과 전주상공회의소가 공동주관하며, 관련 실무부서 담당자와 출연기관 및 유관기관 임직원 등이 참석한다.
박인석 기자 newscheaner@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