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도, 혁신도시 악취 해결, 지혜 모아 답 찾는다 제2차 상설협의체 개최, 도 및 4개 시군, 관련 기관 참여 박인석 기자 newscheaner@kakao.com |
| 2025년 10월 24일(금) 13:42 |
![]() 혁신도시 악취 해결, 지혜 모아 답 찾는다 |
도는 24일 도청 종합상황실에서 ‘제2차 혁신도시 악취저감 상설협의체’ 회의를 열고, 전주‧익산‧김제‧완주 등 4개 시군과 유관기관, 전문가 등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악취저감 종합대책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현업축사 매입사업 추진 △악취관리지역 지정 협의 △주변 오염원 관리 강화 등 주요 현안을 중심으로 심도 있는 의견이 오갔다.
도와 김제시는 2025년까지 국비 481억 원을 투입해 26개 현업축사 매입을 완료했으며, 2026년부터는 국비 238억 원과 지방비 102억 원 등 총 340억 원을 추가로 투입해 잔여 27개 축사를 매입할 계획이다.
또한 매입 이후 남게 되는 가축분뇨 퇴액비 제조시설과 계사 등 약 60개소의 악취배출원 관리를 위해 ‘악취관리지역 지정’ 필요성에 대해 위원들이 공감대를 형성하고, 지정 범위와 시기 등을 함께 논의했다.
혁신도시 주변 전주시 남정동과 완주군 이서면 지역에서도 돈사 2개소를 중심으로 연평균 20건 이상의 악취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와 시군은 합동점검을 실시하고, 신고대상배출시설 지정 등을 통해 관리 강화에 나설 방침이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김제 용지면 일대의 복합악취 농도는 2015년 14배에서 2025년 8.5배로 약 40% 감소했다. 그러나 여전히 악취 민원이 지속되고 있어, 전북도는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지난 5월 ‘혁신도시 악취저감 상설협의체’를 출범하고 전주·익산·김제·완주 등 4개 시군과 업무협약을 체결해 상시 협력체계를 구축했다.
상설협의체는 축사 매입, 계사 정비, 퇴·액비 제조시설 관리 등 6대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추진상황을 점검하고 정책 자문 및 의사결정을 수행하고 있다. 단순한 민원 해소를 넘어, 정주여건 개선과 지속가능한 환경관리 기반을 마련해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목표다.
노홍석 전북자치도 행정부지사는 "혁신도시 악취 해결로 지자체간 갈등 해소, 상생 협력 모범사례를 창출할 수 있도록 노력해 줄 것“을 당부하며, ”도민이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으로 빠른 시일안에 쾌적한 혁신도시 정주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박인석 기자 newscheaner@kakao.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