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은미 전북도의원, 토종작물 보존ㆍ육성위한 정책세미나 개최 |
오 의원에 따르면 “전북자치도는 토종 농작물 보존 및 육성에 관한 조례를 근거로 ‘23년 토종작물 보존ㆍ육성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도내 토종작물(종자) 자원 조사를 실시”했다. 따라서 도내 토종 농작물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정책 제안 및 토종농작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세미나를 개최한 것이다.
전북연구원 황영모 박사는 토종농작물 보존ㆍ육성 5개년 계획 발제를 통해 “토종 농작물 보존ㆍ육성에 대한 일관체계(조사ㆍ발굴-보급ㆍ재배-이용ㆍ활용) 중심으로 정책실행 여건을 고려하여 1단계에서 3단계까지 추진단계를 설정하여 전북자치도가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전북대학교 김수현 교수는 도내 14개 시군에 산재되어 민간에서 보존ㆍ재배되어온 지역별 토종종자의 유형과 특성, 활용법 등을 조사ㆍ발굴한 결과를 발표했다.
김 교수는 “도내에는 총 39개 품종, 186개 상세품종의 토종작물을 재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도내 토종작물을 활성화하기 위해 민관 협치를 통한 토종유전자원 조사ㆍ수집ㆍ분양 과정을 개선하고, 토종작물의 상품화 및 고급화 전략, 거점별 토종 종자 저장고의 설치, 토종 관련 소득 보전 지원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농산유통과 김신중 과장은 “토종농작물 재배 활성화를 위한 채종포 지원 확대, 로컬푸드매장과 연계한 판로확보, 토종농작물 도시텃밭 재배활동 지원을 확대하고 토종농작물을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도와 농업기술원, 시ㆍ군, 농업기술센터의 협의체를 구성하겠다”며, “토종직불금 지급 등 전북자치도만의 토종 사업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토종채종포운영협의회 이현숙 회장은 “도내 토종농작물 자원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보급ㆍ분양하기 위해 ’토종종자은행‘의 설치ㆍ운영이 선행되어야 하고, 토종농작물을 재배하는 농업인 등에 대해 소득보전 및 생산비의 일부를 지원하는 토종농작물 소득보전 직불제를 하루빨리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미나 진행을 맡은 오은미 의원은 “토종농작물은 지속가능한 전북 미래농업을 위해 지켜야 할 소중한 자원이지만 수확량이 적고 종자확보ㆍ재배 어려움 등으로 농업인의 생산활동 참여가 저조한 게 사실이다”며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이어 오 의원은 “오늘 세미나를 통해 토종농작물 재배 농민들이 제안한 토종농작물 전담부서 설치, 소득보전직불금 지급, 토종종자은행 설립 등의 정책들이 실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