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구 광주일고 우승, 농구 수피아여고 우승, 핸드볼 조대여고 준우승 |
광주광역시체육회(회장 전갑수)는 검도 등 50개 종목 1,439명의 선수단이 참가한 이번 제106회 부산 전국체전에서 금메달 53개, 은메달 48개, 동메달 62개 등 총 163개의 메달과 32,640점이라는 고득점으로 종합 11위를 달성해 한꺼번에 3마리의 토끼를 잡았다.
특히 32,640점은 제100회 서울 전국체전 이후 연속해서 3만 점대를 유지한 결과로, 고・대・일반부 및 단체・개인・기록 종목의 경기력이 고르게 상승했다는 방증이자 광주체육 발전의 청신호다.
또 경쟁 시도였던 전남과 전북 등을 제치고 달성한 성과라 큰 의미가 있다.
시체육회는 이번 체전 성과로 ①경기력 및 종합순위 상승을 위한 선수·지도자의 근성 노력, ②신기록 수립(7개), 다관왕(8명) 및 다연패(15개 팀・선수) 배출, ③1,000점대 획득 종목 증가(12개)를 꼽았다.
광주 여자 농구의 자존심 수피아여고는 29년 만에 우승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수피아여고는 서울 선일여고와의 결승에서 이가현, 김담희, 임연서의 활약에 힘입어 61:56으로 제압하며 제77회 전국체전(1996년) 이후 금메달을 목에 거는 감동을 만들어냈다.
야구 명문인 광주일고도 이번 부산체전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광주일고는 경기 유신고와의 결승에서 6:3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김동혁, 이후찬, 박찬민이 마운드를 책임지고, 조휘원의 3루타를 포함한 10안타로 6득점하며 승리했다.
광주일고의 이번 우승은 지난 제99회(2018년) 전북 전국체전 이후 7년 만이다.
여자 핸드볼도 일을 냈다.
1989년 창단이래 첫 우승에 도전한 조대여고는 인천비즈니스고와의 결승에서 연장 승부 끝에 23:25로 석패하며 아쉽게 준우승을 차지했다.
조대여고는 7명의 선수로 교체선수 없이 모든 선수가 전 경기를 소화하며 가능성을 보인 경기라고 호평했다.
광주 복싱의 희망인 한영훈(동구청)은 라이트웰터급에 출전해 금빛 주먹을 날리며 전국체전 4연패라는 대업을 이뤘다.
최고의 전성기를 맞은 한영훈은 이번 체전 이후에도 연패를 이어갈 대어로 주목받았다.
기대를 모았던 조정에서는 3연패가 나왔다.
전국 최강으로 이름을 올린 광주체고 여자 조정팀은 쿼드러플스컬과 더블스컬(경량급)에서 금메달을 따며 체전 3연패를 기록했다.
특히 국가대표 김지선은 팀을 리드하며 금메달을 따는데 맏언니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역도에서는 역사(力士) 남매가 나왔다.
손현호(광주시청)는 남자일반부 81kg급 경기에서 인상(154kg)・용상(198kg)・합계(352kg)에서 금메달을 획득해 대회 3관왕에 오름과 동시에 용상과 합계에서는 체전 3연패를 달성했다.
손현호의 합계 기록은 대회신기록을, 용상 기록은 대회 타이기록이다.
김체량(광주체고 2)도 여자고등부 +87kg급에 출전해 대회 3관왕을 수립했다.
육상 1,600m 계주(광주시청)에서 대회 3연패를 기록했고, 핀수영 양지원(광주시체육회)과 태권도 김혜규(조선대 3), 사격 김도훈(한국체대 2), 근대5종 전웅태와 계주팀(광주시청), 레슬링 이재혁(광주체고 3), 박서영(남구청), 박인성(광주체고 3), 양궁 오예진(광주여대 4)이 2연팩를 달성했다.
산악 신은철(더쉴)이 스포츠클라이밍 속도에서 한국신기록을, 핀수영 신재이(광주체고 1)가 표면200m에서 한국주니어신기록을, 양궁 오예진(광주여대 4) 등 4명이 대회신기록을 수립하며 광주의 메달 사냥에 힘을 보탰다.
전갑수 체육회장은 “광주의 대표선수들이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자신의 목표를 향해 최선을 다해 값진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됐다. 모두 축하하고 수고했다.”며 “이번 부산 전국체전을 계기로 더 큰 꿈을 갖고 비상하는 선수로 성장하길 희망한다.”고 격려했다.
박인석 기자 newscheaner@kaka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