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염영선 의원 |
염 의원은 “전북특별자치도와 11개 시·군이 2024년과 2025년 매년 1,000억 원씩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투입했지만, 대부분의 사업이 청년주택·캠핑장 등 시설 위주로 편중되어 있다”며 “결국 예산은 쓰이지만 인구유입이나 청년정착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전국적으로 지방소멸대응기금의 집행률이 2022년 90%대에서 2025년 6월 기준 32%까지 급락한 점을 지적하며, “전북의 경우 고창군은 집행률 0%, 정읍시는 3.7% 수준으로 전국 평균에도 크게 못 미친다”고 구체적 수치를 제시했다
염영선 의원은 “토지보상과 행정절차 지연, 사업 간 중복으로 예산은 쌓이고 집행은 미뤄지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며 “이대로는 지방소멸대응기금이 아니라 지방소멸촉진기금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행정안전부가 2026년부터 사람 중심, 일자리 중심, 마을 중심의 프로그램형 사업에 가점을 부여하는 평가체계를 도입하는 것은 다행이지만, 전북은 그보다 한발 앞서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염 의원은 전북의 지방소멸 대응 방향으로 세 가지 대안을 제시했다.
첫째, 정주·돌봄·보육 중심의 사람 투자형 기금 전환 — 청년주택사업에 ‘정착 코디네이터’와 돌봄 프로그램을 결합해 정착률을 핵심 성과지표로 관리할 것.
둘째, 청년 일자리·기업지원 중심의 유입형 구조 강화 — 청년창업, 스마트팜, 특례보증 등을 창업–주거–고용 연계형 패키지로 설계하고, 고용유지율을 평가기준으로 삼을 것.
셋째, 도 주도의 기금사업 종합평가체계 구축 — 시·군별 사업 연계성, 집행률, 정착률 등을 통합 관리하여 중앙평가에서 인센티브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할 것
끝으로 염 의원은 “지방소멸대응기금은 단순한 재정지원이 아니라 전북의 생존전략과 직결된 정책수단”이라며 “전북특별자치도가 시설보다 사람, 단순 투자보다 지속가능한 정착률 중심으로 기금 구조를 혁신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5.10.27 (월) 2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