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국민의 힘은 자신들을 '보수의 적통'이라 자처한다. 그러나 그들이 과연 진정한 보수의 가치와 철학을 대표할 자격이 있는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보수란 무엇인가?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고, 법치주의를 존중하며, 공동체의 안정을 도모하고, 국민의 삶을 도덕과 질서 속에 보호하는 철학이 보수의 근간이다. 그러나 대한민국 현대사를 통해 되짚어 보면, 이 정당의 뿌리는 그와는 거리가 먼 궤적을 걸어왔다.
1950년대 자유당 정권은 국가권력의 이름으로 제주 4.3 항쟁을 유혈 진압하고, 6.25 전쟁 당시 한강 철교를 끊어 시민들을 고립시킨 채 후퇴했다. 이후 수복된 서울에서 ‘불순분자’란 이름으로 수십만 명의 민간인을 희생시켰다. 이것이 국민의 생명과 자유를 보호하는 보수의 태도인가?
1961년 박정희의 5.16 군사쿠데타는 명백한 헌정질서 파괴였다. 그는 월남 파병과 경제 개발이란 명분 아래 수많은 젊은이들의 피를 제물로 바쳤고, 정권 유지를 위해 지역감정을 조장하고, 결국 총탄 앞에 쓰러졌다. 이처럼 국민을 수단으로 삼은 정치가 과연 보수의 이름으로 미화될 수 있는가?
1980년, 또 한 번의 쿠데타가 벌어졌다. 전두환 신군부의 내란과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유혈 진압은 민주주의에 대한 정면 도전이었다. 그들은 총칼로 권력을 탈취하고, 보수를 '공포의 질서'로 오염시켰다. 이후 보수정당은 차떼기 사건, 국정농단, 금권정치, 언론 장악 시도 등 반복되는 부정부패로 불신을 자초했다.
2025년 현재, 윤석열 정권은 ‘12.3 비상게엄 사태’로 다시금 국민에게 총부리를 겨눈 정권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이런 정당이 법치와 자유를 말할 자격이 있는가? 국가 권력을 자신의 방패로 삼고, 국민을 잠재적 적으로 규정하는 정당이 진정한 보수인가?
보수는 결코 총칼을 휘두르는 것이 아니다. 보수는 민주주의를 지키는 울타리이고, 법과 제도를 존중하며 국민의 삶을 안정시키는 보호막이다. 그러나 지금의 국민의힘은 그 역사 속에서 반민주, 반서민, 반공정의 DNA를 이어받아 권력의 자리를 지키는 데 급급했다.
'보수’를 외치기 전에, 그들이 먼저 해야 할 일은 지난 역사에 대한 진실한 성찰과 책임이다. 국민의 삶을 도외시하고 정권욕에만 매몰된 세력에게 ‘보수’라는 이름은 과분하다. 우리는 이제 묻는다. 국민을 향해 총을 든 정당이, 어찌 국민의 보루가 될 수 있단 말인가?
뉴스채널 newscheaner@kakao.com